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는 추가적인 지원금과 함께 25년 개편되었습니다.

     

    가입조건, 신청방법, 필요서류 등을 체크하여 늘어난 정부지원금 및 추가적인 혜택들을 받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기 위해서는 나이, 개인소득, 가구소득 등 3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지금부터 각 조건을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① 나이 : 만 19세 ~ 만 34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나이조건은 만 19세에서 만 34세 청년입니다.

    자신의 만 나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계산기를 통해 확인해보셔도 좋은데요.

    [ 만 나이 계산기 바로 가기 ]

    2025년을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한 나이 조건은 생일이 지나지 않은 1990년생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물론 군 복무기간은 나이에서 빼고 계산하여 신청할 수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고 가입 가능하다면 빠르게 신청 후 추가적인 정부지원금을 받아가세요.

     

    ② 개인소득 :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는 청년이라면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종합 소득자는 종합 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라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 해당됩니다.

    2025년 7월까지는 2023년 소득이 기준이 되며, 소득이 없거나 비과세 소득만 존재할 경우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비과세 소득 중에서 군 장병 급여와 육아휴직급여는 소득으로 인정되어 2023년에 군복무 중이었거나 육아휴직 중이였어도 가입조건에 해당됩니다.

     

    ③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는 가입 신청자와 주민등록상 함께 살고 있는 배우자, 부모, 미성년 형제자매를 이야기하는데요.

    가구의 소득을 모두 합쳐서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여야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에 해당됩니다.
    (* 성인 형제자매나 조부모, 다른 친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가구원 수 당 기준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250% (단위 : 연)
    1인 가구 62,336,760원
    2인 가구 103,684,650원
    3인 가구 133,044,480원
    4인 가구 162,028,920원
    5인 가구 189,920,640원
    6인 가구 216,839,430원
    7인 가구 243,225,450원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이자

     

    ♣ 25년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금과 함께 혜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내가 얼마를 수령받을 수 있는지 추가적인 혜택 및 변경점은 무엇인지 체크해 주세요.

     

    ① 높은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최고 6%의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적금상품입니다.

    금리 조건 및 이자는 은행별로 차이가 존재하니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은행을 찾아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각 은행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는 아래 표를 통해 남겨놓을테니 '내가 몇 %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한 분들은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② 비과세
    일반적인 은행의 적금에는 15.4%의 이자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30만원씩 3년, 5%의 금리라고 한다면 30*36=1,080만원이며 이 중 5%의 금리라면 54만원을 이자로 받지만

    이 중 15.4% (83,160원) 이자소득세를 제하고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456,840원만 수령할 수 있는 셈이죠.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혜택이 적용되어 세금을 떼지 않습니다.

    70만원씩 넣는다고 가정해본다면, 최대 388,080원의 세금을 내지 않고 절약할 수 있는 것입니다.

     

    ③ 정부지원금
    청년도약계좌는 금리에 따른 이자, 비과세 혜택 외에도 정부지원금이 있는데요. 25년 1월부터 정부지원금 금액이 증가하였습니다.

    개인소득구간과 월 납입 금액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최대 월 33,000원이 지급되는데요.(*연9.53% 적금 가입효과)

    "월 33,000원?" 적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만기 시 1,980,000원을 지원받는 셈이며, 6%의 이자로 받는 2,520,000원과 비과세를 함께 고려한다면 결코 적은 돈은 아닐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는 온라인을 통해서 쉽게 신청할 수 있는데요.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의 앱을 통해 비대면 가입 신청 및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영업일 : 09시 ~ 18시 30분)

     

    외국인의 경우 비대면(은행, 앱)으로 가능하며 가입은 대면(취급은행 지점)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가입 및 신청방법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취급 은행 가입신청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의 앱을 통해 비대면 가입 신청 및 계좌 개설이 가능하지만 아래 유의사항을 반드시 체크해주세요.

    1) 취급 은행을 통틀어 1명 당 1개의 계좌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2) 현재 청년희망적음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라면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3)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대상 여부가 확인 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이 중지됩니다.

    ② 가입요건 확인
    취급은행에서 서민금융진흥원으로 가입 요건을 확인합니다.

    ③ 확인결과 통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신청자의 가입조건을 체크하여 취급은행에 결과를 통보합니다.

    개인 및 가구소득을 확인하는 세부 절차는 다음과 같으며 2주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1) 나이 및 개인 소득 확인

    2) 가구원 확정 및 정보 제공 동의

    3) 가구 소득 확인

    4) 확인결과 통보

    ④ 계좌개설 안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 해당되어 결과가 통보되면 취급 은행에서 신청자에게 계좌 개설을 안내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필요서류

    ♣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서류가 필요한데요. 발급받기 어려운 서류는 없는 만큼 신청하셔서 확대된 혜택과 지원금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① 본인 확인 서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② 소득 증빙 서류
    급여 명세서
    소득금액증명원(프리랜서 및 자영업자)

     

    ③ 거주 확인 서류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④ 추가 서류
    기초생활수급 증명서 등 필요시 추가 제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추가 혜택

    ♣ 2025년 새로워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금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혜택들을 확대하였는데요. 이런 혜택들까지 적용된다면 신청하지 않을 이유는 없겠죠?

     

    ① 기여금 지원 확대
    기존에는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 ~ 2.4만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았습니다. 연 최대 8.87%의 일반 적금 상품을 가입한 효과였는데요.

    기여금 매칭한도를 초과한 납입분에 대해서는 기여금을 미지급 하였습니다.

    25년도에는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 ~ 3.3만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을 가입한 효과인데요.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전부 지급받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②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기존에는 만기(5년) 도래 전 중도 해지 할 경우 비과세가 미적용 되었으며, 기여금을 환수하였습니다.

    25년도에는 만기하기 전이라도 3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할 경우 비과세가 유지되며 기여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③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산점
    기존에는 가입 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 신용평가점수에 가점은 없었습니다. 마이데이터를 통해 별도로 납입 정보를 제공해야만 했는데요.

    25년도에는 2년 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에 최소 5 ~ 10점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가 자동 연결 됩니다.

     

    ④ 부분 인출서비스
    기존에는 만기 전 부분 인출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었는데요.

    25년도에는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 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금 마련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24년 최고의 청년 정책으로 선정될 만큼 청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25년도 들어오면서 추가적인 정부 지원금 및 여러 지원들로 혜택 범위를 확장했는데요.

     

    본 내용을 참고하여 가입조건, 이자, 신청방법, 신청서류 등 꼼꼼하게 체크해서 많은 혜택들을 받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